HTTPS 통신

HTTP가 뭐죠? / HTTP 특징 1분정리

노란배추잎 2024. 8. 21. 14:38

 HTTP(Hyper text Transfer Prorocol)

무언가 링크를 통해서 전달할수있는 html등 하지만 모든 것이 http를 통해서 통신을 진행을 한다. 음성 영상 파일 html texst등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가 전송이 가능하다. 서버간의 데어터를 주고 받을 때고 대부분 HTTP를 사용을 한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HTTP/1.1 버전을 주로 사용중이고 TCP프로토콜 위해서 작동을 한다. TCP 내용에 대해서 궁금한 분들은 밑에 내용을 읽어보시길...

 

 

2024.08.19 - [HTTPS 통신] - 인터넷 네트워크(TCP UDP는 무엇인가요?)

 

인터넷 네트워크(TCP UDP는 무엇인가요?)

TCP와 UDP의 프로토콜 알기전 ip프로토콜(약속) 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ip 프로토콜에 대해서 정리를 해두었으니 참고하면 좋을듯 하다. 2024.08.19 - [분류 전체보기] - 인터넷 네트워크( IP 프

yeomiblog.tistory.com

 

 

 

HTTP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에 대해서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자!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HTTP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조로 되어있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게 되면 서버가 요청을 받고 응답을 한다. 라고 이해를 하면 된다. 

 

무상태 프로토콜 (state less) 비연결성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버의 확장성(스케일 아웃)에 편리하다. 하지만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를 전송을 해야 한다. 

 

상태유지 Stateful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을 할때 이전에 했던 요청을 기억하고 다음에 다시 요청이 온다면 이전에 했던 요청을 참고해서 다음 요청을 처리 할 수 있다. 하지만 확장성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어 갑자기 트레픽이 올라가는 수강신청 사이트의 경우 Stateful 로 사이트를 만들면 바로 서버가 다운이 된다. 

 

무상태 - Stateless

 

 

무상태의 경우 중간의 점원이 바뀌어도 상관이 없다 하지만 상태유지의 경우 중간에 점원이 바뀌게 되면 장애가 발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무상태의 경우 중간에 점원이 바뀌어도 상관이 없다는 말은 응답 서버를 쉽게쉽게 바꿀수 있다는 점이다. 즉 무한한 서버 증설이 가능하다.